hwp.word/미디어커뮤니케이션

[콘텐츠 기획의 인문학] 8. 에크프라시스 그리고 배움의 연결 짓기

매랑 2020. 4. 11. 04:24

[콘텐츠 기획의 인문학] 

필기노트 시리즈

[8

에크프라시스

그리고

배움의 연결 짓기


<학습목표>

1) project pitching

2) Umpqua meeting

3) Ekphrasis



<Project>


Pitching



<Umpqua>


Meeting 



<Ekphrasis, 교수님께 배울 한 가지>


Ek - Out

Phrasis - Speak

밖으로 말하다, 말로 풀어내다, 시각적 자극의 언어화

- 에크 프라시스는 상상력과 관련된 예술 작업의 그리스식 정의로서 수사학적인 훈련으로 생겨났다. 즉, 시각적인 예술 작품의 문자적이고 극적인 기술(description)을 말한다


- 스토리텔링보다 에크프라시스

1) 고대에 그것은 사물, 사람, 경험에 대한 자세한 기술을 뜻하기도 했다. 그리스어 다는 '밖으로', phrasis는 '말하다'를 뜻하므로(Wikipedia) 에크프라시스란 '밖으로 말한다', '말로 풀어낸다'는 뜻에 해당하겠다

2) "스토리텔링의 첫 걸음은 에크프라시스다!" : 에크프라시스는 예술의 한 매체를 다른 매체로 전환하는 데에 있어 수사학적인 도구


- Ekphrasis

* 매체간 넘나들기 ( cross media translation ) (홍경수, 2014)

* 가장 쉽고 기초적인 스토리텔링의 방법

  언어 ↔ 영상 ↔ 사운드 ↔ 언어 

ex) 언어를 영상으로 바꾸는 사람 - PD, 카메라 감독, 사진 작가

ex) 영상을 언어로 바꾸는 사람 - 편집자, 번역하는 사람, 자막 넣는 사람, 작가

ex) 언어를 사운드로 바꾸는 사람 - 가수, 작곡가, 편곡하는 사람

ex) 사운드를 언어로 바꾸는 사람 - 평론가, 라디오 작가, 진행자

" 에크프라시스 훈련을 하다 보면 창의적이 되고 스토리텔링이 풍부해진다 "


- 영상 에크프라시스

1) 영상의 요소를 나열

2) 나의 느낌을 나열

3) 영상적 유사성 떠올리기

4) 영상의 의미, 신화 구성

5) 이들을 언어적으로 구상, 체계화

6) 언어를 바탕으로 의미론과 어원론 등에 연결 


- 에크 프라시스의 4단계


 1. Describe
Depict the object into. Words, picture and sound
 2. List or Scatter
Extract the element, attributes, feelings
 3. Invent
Define what to choose
 4. Dispose
Arrange in order what you chose

- Aristote's Rhetoric

1. Invention

2. Disposition

3. Style

4. Memory

5. Delivery




<느낀점>


 영상 에크프라시스의 과정에서 저는 '수달법'을 떠올렸습니다. 영상의 요소를 나열하고, 나의느낌을 나열한 뒤 영상을 의미화, 신화 구성화하는 과정이 나열이 중점이던 수달법과 비슷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콘기인을 배우면서 학습하는 챕터 하나하나가 서로 연결되어있다는 점이 매 수업마다 저를 더 집중하게, 흥미를 가지게 만들어주는 요소인 것 같습니다. 유능한 기획을 위해서는 미디어를 넘나들 수 있도록 다리를 놓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겠다고 느낀 시간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의 종점인 언어를 다지기 위해 언어의 기본을 탄탄히 잡아주는 독서와 작문을 더욱 습관화하여 미디어 간의 튼튼한 다리를 짓고 마음껏 넘나드는 설계사가 되고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