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기획의 인문학] 1. 콘텐츠 기획의 키워드와 움프쿠아
[콘텐츠 기획의 인문학]
필기노트 시리즈
[1강]
콘텐츠 기획의 키워드와
움프쿠아 프로젝트
- 현대는 ‘디지털 시대’이다
디지털 시대의 특징은?
편재하는 정보 -> ‘편재’란 널리 퍼져있다는 뜻 (정보의 축적과 생성, 수신과 발신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온라인, 영상, 모바일 (영상화되는 모바일 온라인에서의 캡쳐, 언어는 영상을 지배하고 읽기는 언어를 지배한다) → 영상을 지배하는 것이 ‘언어’이기 때문에 영상을 만들 때 인문학이 중요하다
글로벌 : 온라인으로 연결되어있는 전세계, 자신의 콘텐츠가 전 세계에 소비될 가능성이 높아짐 → 시장의 확장
* ‘영상’과 언어의 관계 : 다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영상’의 방향을 정해주는 것이 ‘언어’이다
ex)방송 영상에서 미묘한 부분을 자막을 통해 잡아주는 경우
- 기획의 키워드
나는 열정적으로 사랑하고 우리는 끈질기게 꿈꾼다
‘나’는 나의 욕구에 충실할 것
‘열정’은 헬라어 ‘빠스코’에서 유래되었으며 고생을 겪다라는 뜻
앉으나서나 자나깨나 생각하는 것이 ‘사랑’
나들이 모이면 ‘우리’가 된다
성공의 비결은 ‘인내’, 창의력의 비결도 ‘인내’이다
혼자꾸는 ‘꿈’은 ‘꿈’이지만 함께 꾸면 현실이 된다, 부대끼며 버리지 않아야 한다
- 인문학과 창의성(상상력)의 관련성
인문학 : 사람이 남긴 흔적을 좇는 학문
<인문학의 네 가지 요소>
문학 : 공감을 가능하게 하는 훈련
역사 : 미래를 보는 힘, 미래를 대처
철학 : 새로운 관점과 시각의 발견
언어 : 또 하나의 문화, 사고 등 상상의 수단 이용 가능
<상상력(Einbuildng)이란?>
단순한 지식 주입이 아니라 마음 속에 불꽃을 불러 일으키는 것, 어떤 정보가 들어오더라도 새롭게 창조할 수 있게 마음의 밭을 경작함 → 기획과 커넥팅됨
- 영상 속 의미와 언어의 관계성
# 한 어린 아이가 물통을 들고 사막을 걷고 있는 사진 제시
위의 사진 하나로 여러 해석이 제시되었지만, 노동 문제와 식수 문제를 겪고있는 두 가지의 상황을 나타낸 자막(언어)을 삽입함으로써 사진의 상황이 정리됨 → 언어는 영상을 하나의 의미로 나타내준다
- 움프쿠아 은행
작은 주의 지방은행이었으나 2003년, 경쟁에서 뒤처지지않기 위해 시도했던 벤치마킹으로 인해 성공을 거둠
호텔, 커피숍, 인터넷 카페, 마을회관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부여한 은행
슬로우 뱅킹 : 지점을 고객이 ‘머물고 싶은 공간’으로 탈바꿈함으로써 구매를 유발
<은행이 내세운 테마 네 가지>
SHIP : 커피
READ : 책
SURF : 인터넷
SHOP BANK :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