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기획의 인문학]
필기노트 시리즈
[6강]
미디어의 근본,
돌고도는 미디어
<학습목표>
1. 재매개
2. 커뮤니케이션 모델
3. 은유를 쓸 줄 안다
4. 움프쿠아 프로젝트 진행
<Insight Tour - 견학 투어>
우리가 끌어모아야 할 것은 Insight 이다
<현대 카드>
- 트래블 라이브러리
- 뮤직라이브러리 + 언더스테이지
- 디자인 라이브러리
<커뮤니케이션이란?>
- Communicare (라틴어) : 나누다, 공유하다 (Share과 비슷)
- 인간이 서로 의사/감정/사고를 전달하는 일
Act of conveying intended meanings from one entity on group to another through the use of mutually
Understood signs and semiotic rules
<커뮤니케이션 모델>
- 아리스토텔레스 "커뮤니케이션은 설득이다."
발화자(발신자) - 메시지 - 수신자
Source - Message - Channel - Receiver
- 데이비드 벌로 < SMCR >
Who - Says What - In which channel - to whom - With What effect (효과, 영향)
- 해롤드 라스웰
Encoding (부호화하다. 입력) - Text - Decoding (코드를 풀어내다, 출력)
- 스튜어트 홀
Content (승객) - Network (철도망) - Platform(서울역) - Device (KTX)
- C - N - P - D model
<재매개 (Remedition)>
- 뉴 미디어는 새로운 미학을 가지고 있을까?
미디어는 기존 미디어에 경의를 표하거나, 그것과 경쟁하거나, 그것을 수정하며 발전. 따라서 재매개라는 말 대신 재미디어화, 즉 다른 미디어로 만든다는 말이 더 쉬울듯
→ 미디어는 다른 미디어의 내용이 될 수 있다
- 미디어의 역사는 재미디어화 과정이다 : 미디어는 고립되어 발전하는 것이 아니다, 모든 미디어는 기존 미디어를 차용, 참조해 개선한다
- 재매개의 효용 : 새로운 기술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기술에 대한 저항감을 줄임
Ex) PD 수첩 (수첩), 감성 매거진 행복한 오후 (잡지), TV 책을 말하다 (세미나), 낭독의 발견 (낭독회),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백과사전), 아침마당 (Web + Logbook, 빨래터, 정자)
- 재매개에 대한 영상 : 문화의 질주, 웰컴 투 판타지
'hwp.word >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텐츠 기획의 인문학] 8. 에크프라시스 그리고 배움의 연결 짓기 (0) | 2020.04.11 |
---|---|
[콘텐츠 기획의 인문학] 7. 의미와 연결, 미디어의 방향을 결정하는 제목 (0) | 2020.04.11 |
[콘텐츠 기획의 인문학] 5. 미디어는 ~이다 (0) | 2020.04.11 |
[콘텐츠 기획의 인문학] 4. 사람을 읽는, 사람을 위한 콘텐츠 (0) | 2020.04.11 |
영화 <프랭크> 리뷰 및 비평레포트 / 결말포함 (0) | 2020.04.10 |